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청년 주거비용 지원 정책

by jak2020 2025. 4. 25.
반응형

2025년 청년 주거비용 지원 정책 총정리

높은 주거비는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 주거비용 지원 정책을 통해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돕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주거비용 지원 정책을 총정리했습니다.

주요 청년 주거비용 지원 정책 한눈에 보기

지원 정책 지원 내용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월 최대 20만원, 최대 24개월 19~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청년가구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복지로
또는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청년/신혼부부: 보증료 전액(최대 40만원)
청년 외: 보증료의 90%(최대 40만원)
서울시 거주 무주택자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청년: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정부24
또는 주소지 관할 구청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지역 및 가구원 수에 따라 차등 지급
매월 20일 지급
만 19~30세 미만 미혼 청년
부모와 거주지 분리
중위소득 46% 이하 가구
복지로
부모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1.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2025년부터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기간이 12개월에서 24개월로 늘어났습니다. 매월 20만원씩 최대 24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어 청년들의 월세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지원 대상

  • 19~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 청년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부모)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
  • 보증금 5,000만원 이하, 월세 70만원 이하 주택 거주

주의사항: 30세 이상, 혼인(이혼), 미혼부·모, 30세 미만 미혼 청년 중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상으로 생계를 달리한다고 인정되는 경우 등은 원가구 소득 기준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2.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전세 계약 종료 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때, 보증기관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대신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지원 대상이 청년에서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최대 지원금액도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지원 대상

  • 서울시 거주 무주택자
  • 서울시 내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주거용 주택
  • 청년(만 19~39세):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청년 외: 연소득 6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혼인신고일 7년 이내): 부부 합산 연소득 7천5백만원 이하

지원 내용

  • 청년/신혼부부: 보증료 전액(최대 40만원)
  • 청년 외: 보증료의 90%(최대 40만원)

신청 방법:

정부24 바로가기 안심전세포털 바로가기
또는 주소지 관할 구청 방문 신청

3.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은 주거급여를 받는 가구의 만 19~30세 미만 미혼 자녀가 취업, 구직, 학업 등의 사유로 부모와 떨어져 살 경우, 별도로 주거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 만 19~30세 미만 미혼 청년
  • 부모와 주소지가 다른 경우
  • 부모가구가 중위소득 46% 이하인 주거급여 수급가구

지원 내용

  • 지역별, 가구원 수별 기준임대료를 바탕으로 실제 임차료 지원
  • 매월 20일에 청년 명의의 계좌로 별도 지급

청년 주거비용 지원 정책 신청 시 주의사항

  1. 중복 수혜 제한: 대부분의 청년 주거지원 정책은 중복 수혜가 제한됩니다.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지원 정책을 선택하세요.
  2. 지역별 차이: 지자체별로 추가 지원 정책이 있을 수 있으니 거주 지역의 청년 주거지원 정책도 확인하세요.
  3. 신청 기간: 일부 정책은 신청 기간이 제한되어 있으니 마감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필요 서류: 신청 전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면 신청 과정이 수월합니다.

관련 글 더보기

반응형